화장품 사용기한 유통기간 보는 법




화장품 사용기한 유통기간 보는 법


로션이나 스킨 등 기초화장품은 남여노소를 떠나서 매일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용을 하다 보면 화장품 유통기한은 어떻게 되는지 화장품 사용기간은 언제까지 인지 애매모호 할 때가 생기는데, 화장품도 음식과 마찬가지로 유통기한과 사용기간을 가지고 있어 시기를 넘겨 사용하면 피부에 부작용을 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유통기한은 제품 밑면에 표시 되어 있는데 밑면을 보면 MFG, EXP, MFD, BBE 등 알송달송 알 수 없는 영문 표기가 많이 보입니다. 도대체 이게 무슨 뜻인지 궁금한데요, 이 시간에는 화장품에 표기되어 있는 유통기간과 사용기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보통 숫자 앞에 영문이 표시 되어 있다면 그 숫자의 의미는 제조일자 또는 유통기간이 되며 앞의 영문은 그것에 대한 약자가 됩니다. MFD는 'ManuFacture Date'의 약자로 제조일자를 뜻 하는데 만약 'MFD180910'으로 되어 있다면 2018년 9월 10일에 제조 되었다는 뜻으로 간편하게 'M140910'이라고 표기 되어도 그 의미는 같습니다. 같은 표현으로 MFG가 사용되기도 합니다. MFG는 'ManuFacturinG'의 약자로 'MFG180910'이라고 적혀 있다면 2018년 9월 10일이 제조일이 됩니다.

EXP는 'EXPiry date'의 약자로 화장품 유통기한의 만료일로 'EXP170520'이라고 인쇄되어 있다면 이 제품은 2017년 5월 20일 까지가 유통기간이 됩니다. 유통 기간은 제품의 사용 기간과는 다른 의미를 가지며 사용 기한은 제품의 특성이나 제형에 따라 별도로 표시 됩니다.









화장품 사용기간은 BBE, BB, BE로 표시가 되는데요. 'Best Before End dates'의 약자로 화장품의 효과를 최대한 누릴 수 있는 권장 사용기간으로 유통기간과는 그 의미가 다르며 표기 된 기간 내에 사용을 마치라는 뜻이 됩니다. 'BBE181026'이라고 되어 있다면 2018년 10월 26일까지 사용하기를 권장 한다는 뜻이 됩니다.

다른 표시로 화장품 용기와 뚜껑이 열려 있는 그림에 '6M' 또는 '12M' 등의 표시가 있는 경우도 있는데 M은 'Month'의 약자로 개봉 후 사용기한을 말합니다. '6M'은 개봉 후 6개월 이내 '12M'은 개봉 후 12개월 이내 사용이라는 의미가 됩니다.

최근에는 모든 화장품에 한글 표시가 되어있어 큰 불편함은 없으나 수입 화장품의 경우 인쇄보다는 스티커로 부착 되어 간혹 떨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때 당황하지 마시고 화장품 사용기간과 유통기한 확인이 가능하니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온누리 상품권, 유효기간 지나도 사용가능

스도쿠 푸는법 요령

면목동 사가정역 가성비 짱! 포차 맛집 '먹새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