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난신호 메이데이(Mayday)의 유래
조난신호 메이데이(Mayday)의 유래
메이데이, 메이데이! 메이데이는 매년 5월 1일에 찾아오는 '노동자의 날', '근로자의 날'이라는 뜻도 가지고 있지만 조난신호로 사용되는 단어 입니다.
조난 신호 그러면 생각나는 단어가 있는 분들도 계실텐데 바로 1920년대까지 사용되었던 에스오에스(SOS)가 됩니다. 그러면 메이데이(Mayday)는 언제부터 조난신호로 사용되기 시작했을까요? 이 시간에는 그 조난신호 메이데이의 유래를 알아보겠습니다.
예전에 널리 사용되던 조난신호의 대명사 SOS는 통신장비의 발달로 사라지게 됩니다. SOS(에스오에스)는 통신이 발달하기 이전 모르스부호를 기반으로 고안되어 점과 선의 조합으로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단어였기 때문에 위급한 상황에서 쉽게 사용이 가능 하였습니다. 하지만 통신기술의 발달은 무선교신을 가능하게 만들어 국제항공통신계에 더욱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조난 신호의 필요성이 제기 됩니다.
영국 런던 크로이던 공항에 근무하던 프레데릭 스탠리 모크포드는 1923년 프랑스어로 '날 도와달라'는 뜻을 가진 '메데(m'aider)'란 단어에서 착안하여 영국인도 발음하기 편안하게 변형한 '메이데이(mayday)를 제안합니다. 당시 항공기 운항의 대부분은 영국과 프랑스에 위치한 공항이 대부분으로 항공관련 용어도 거의 두 나라의 언어가 사용되었습니다.
메이데이는 영어 구사자에게도 발음이 쉽고 프랑스어로 긴급하고 위급한 상황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어 모크포드의 제안을 크로이던 공항은 받아들이게 되고 프랑스 공항 측과 협의를 거쳐 메이데이가 조난신호로 사용되기 시작 되었으며, 점차 사용이 확대되어 1927년에 국제 무선통신 회의에서 이를 공식 조난용어로 인정하였습니다.
메이데이(Mayday) 조난신호 유래를 알아 보았는데요. 기술의 발달 즉, 통신기술의 발달은 국제 조난용어도 바꾸게 됩니다. '팬팬(pan pan)'이라는 단어도 메이데이 보다는 덜 사용 되지만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조난신호 중 하나로 '고장(panne)'이라는 뜻을 가진 프랑스어를 영어식으로 고친 것이 됩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