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직구, 세금은 내는 걸까?
해외직구, 세금은 내는 걸까?
해외 직구를 할 때는 각 나라마다 다른 세금이 붙어요. 우리나라에선 크게 관세, 부가가치세(VAT), 개별소비세, 교육세 및 농어촌특별세 같은 세금들이 있죠. 우선 관세는 해외에서 산 물건이 우리나라로 들어올 때 매겨지는 세금인데, 물건 값에 따라 다르게 붙고, 부가가치세는 관세까지 합친 금액의 10%를 내야 해요. 그리고 몇몇 비싼 물건이나 사치품엔 개별소비세가 붙는데 이건 일정 금액을 넘어야만 매겨져요. 또, 부가가치세나 개별소비세에 추가로 붙는 세금도 있답니다.
우리나라에선 미화로 150달러(미국에서 오는 건 200달러)까지는 세금 없이 들여올 수 있어요. 하지만 이 금액을 넘으면 관세랑 부가가치세를 내야 하죠. 그런데 술, 담배, 향수 같은 건 조금만 사도 세금을 내야 하고, 건강기능식품은 150달러 이하라도 세금 면제가 안 되니 주의해야 해요.
세금은 환율이나 세율이 바뀔 때마다 달라질 수 있어서 정확한 세금은 관세청 홈페이지나 해외 직구 예상 세액 조회 시스템에서 확인하시는 게 좋아요.
댓글
댓글 쓰기